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7

우리나라 지형 특징: (1) 산맥, 산지, 경동 지형, 1차산맥, 2차산맥, 돌산, 흙산 우리나라 산지의 형성과 분포오늘날 우리나라 산지 지형의 기본 골격은 신생대 지각 변동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산지는 오랜 시간 침식을 받아 세계의 큰 산맥들에 비해 해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편입니다. 또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동고서저의 지형을 나타내는데, 이는 과거 한반도에서 일어난 융기 운동의 결과로 동쪽은 융기량이 많아 해발 고도가 높고, 서쪽은 융기량이 적어 해발 고도가 낮게 형성되었습니다.우리나라 국토의 약 70%는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은 산지는 주로 북동쪽에, 낮은 산지와 평야는 남서쪽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 특징 때문에 북동부 지역에는 산지가, 남서부 지역에는 평야가 발달해 인구가 밀집해 있습니다.  하지만 해발 고도가 1,000m 이상의 고디재는 국토.. 2025. 3. 6.
우리나라 전통적 지역 구분: 관서, 관북 관동, 해서, 경기, 호서, 호남, 영남 지방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산, 강, 바다 등의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지역을 구분하였습니다.전통적 지역 구분은 영동 고속 국도, 호남 고속 철도 등과 같이 오늘날에도 여러 명칭에 남아 있습니다. 1) 관서, 관북, 관동 지방관서 지방철령관의 서쪽 지역관북 지방철령관의 북쪽 지역관동 지방철령관의 동쪽 지역(강원도 지역)     ※ 철령관: 교통과 군사상 중요한 고개인 철령에 외적의 침입을 막으려고 지은 요새 철령은 오늘날 북한 강원도 회양군과 고산군 사이에 있는 깊고 험한 고개입니다. 철령은 요새와 같은 협곡이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예로부터 철령은 중부 지방과 관서, 관북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자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이곳에 관문을 세워 관리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철령관의 흔적.. 2025. 3. 6.
우리나라 지역 구분: 북부 지방, 중부 지방, 남부 지방 1. 우리나라 지역 구분지역 구분은 대체로 산맥이나 호수 등 자연환경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자연 지형이 오랜 세월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도 산맥과 강을 지역의 경계로 삼고 있음을 지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크게 북부, 중부, 남부 지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북부 지방 휴전선 북쪽으로, 지금의 북한 지역 중부 지방 휴전선 남쪽부터 소백산맥과 금강 하류까지 남부 지방 중부 지방의 남쪽 지역• 북부 지방북부 지방은 멸악산맥을 기준으로 그 이북 지역을 말합니다.남과 북이 나뉘면서 실질적으로는 휴전선 이북 지역을 지칭하며, 흔히 ‘북한’이라 부르는 지역을 북부 지방이라고 합니다.북부 지방은 낭림산맥을 경계로 관서 지방과 관북 지방으로 .. 2025. 3. 6.
미국, 캐나다, 아프리카 국경선의 비밀: 국경선이 만들어지는 이유와 직선 국경 국경선의 형성 요인대부분의 국경선은 산맥이나 강과 같은 자연 지형을 경계로 정해지기 때문에 들쭉날쭉한 곡선을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직선 국경 배경 그러나 일부 국가는 직선 형태의 국경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북아메리카의 캐나다와 미국입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선은 총 길이가 약 8,893km에 달하는데, 동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북위 49도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국경선의 틀이 정해진 것은 1846년부터입니다. 당시 미국과 영국은 광활한 서부 지역을 두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오리건 지역은 1818년부터 두 나라의 공동 영토로 인정되었으나, 미국의 서부 개척이 활발해지면서  영토 문제에 대한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영국이.. 2025. 3. 5.
우리나라(우리 국토)의 영역: 영토, 영해, 영공, 1. 국토의 영역국토의 영역은 한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범위를 의미하며, 영토, 영해, 영공으로 구성됩니다. 국가의 영역은 국민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터전이자, 국가를 이루는 기본 요소입니다. 한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땅을 영토, 영토 주변의 바다를 영해, 그리고 영토와 영해 위의 하늘을 영공이라고 합니다.국토의 영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국민이 적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을 보호하며, 대대로 살아갈 터전입니다. 따라서, 역사를 돌이켜보면 국가와 민족은 영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으며, 때로는 더 넓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국가와 충돌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삶은 동물의 영역 본능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2. 우리나라의 영토우리나라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2025. 3. 5.
우리나라의 위치: 수리적 위치, 지리적 위치, 관계적 위치 1. 우리나라의 위치 개관우리나라는 북반구, 그중에서도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입니다. 우리나라 주변에는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국가가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하고 있어 대륙과 해양으로 나아가기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수리적 위치수리적 위치란 대한민국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숫자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위도 33°N43°N, 경도 124°E132°E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반구의 중위도 지역에 속합니다.이러한 위도상 위치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식생에 영향을 미쳐 한민족의 생활 방식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경도는 시간대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하는데, 우리나라는 동경 135°.. 2025.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