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후 특징(3): 우리나라 강수 특징, 소우지, 다우지, 다설지역
우리나라의 강수량세계적으로 볼 때 습윤 기후 지역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300mm 정도이며, 이 중 50% 정도가 여름에 집중된다. 우리나라는 기단의 발달, 장마 기간의 차이, 태풍의 통과 횟수와 강도, 강수의 발생 정도가 해마다 달라 연 강수량의 변화가 심하다. 여름에 집중되는 강수 특성우리나라의 강수는 여름철에 집중된다.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과 장마 전선, 태풍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내리며, 집중 호우의 형태로 내리는 경우가 많다. 반면, 겨울철에는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강수량의 지역 차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면서 대체로 줄어들지만, 지형과 풍향 등의 영향으로 지역적 차이가 큰 ..
2025. 3. 24.
우리나라 행정구역 지명과 도청 소재지: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행정구역이란 나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나눈 지역이다. 우리나라는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특별자치시 등 넓은 범위의 행정구역과 시·군·구 등 좁은 범위의 행정구역을 사용하여 국토를 구분한다. 넓은 범위의 행정구역은 북한 지역을 제외하고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6개의 도, 3개의 특별자치도, 1개의 특별자치시로 이루어져 있다. 넓은 범위의 행정구역에는 각각 그 지역을 관리하는 시청과 도청이 있다. 행정구역명의 유래현재 우리나라 행정 구역은 조선 시대의 8도에서 비롯되었으며, 각 도의 명칭은 그 지역에서 중심지 기능을 담당한도시 이름의 앞 글자를 따서 정하였다.구분지명 유래경기도서울을 중심으로 한 가까운 주위의 지방 (서울 경 京, 경기 기 畿) 강원도강릉 + 원주충청도충주 + 청주전라..
2025.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