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연재해란?
자연재해란 인간과 인간 활동에 피해를 끼치는 자연 현상을 말합니다. 자연재해는 그 종류와 강도에 따라 피해 규모가 달라지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대규모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연재해는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첫째, 기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는 홍수, 태풍, 폭우와 같은 풍수해를 비롯해 오랜 가뭄, 폭설, 우박, 해일, 안개, 토네이도, 폭염, 한파 등이 있습니다.
- 둘째, 지각 변동으로 발생하는 재해로는 지진, 지진 해일(쓰나미), 화산 활동, 산사태 등이 대표적입니다.
최근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그 강도가 심화되는 주된 원인은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에서 비롯된 환경 파괴에 있습니다.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극단적인 기상 이변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 홍수
홍수는 비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리거나 장기간 지속적으로 내려 강, 시내, 호수가 넘쳐 도로나 건물 등이 물에 잠기는 재해를 말합니다.
주로 고온 다습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대하천 유역에서 자주 발생하며, 북극해 연안 고산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쌓인 눈이 봄철에 녹아 강으로 흘러들어 홍수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또한 건조 기후 지역에서도 집중 호우가 내리면 낮은 지대로 물이 모여 급류를 형성하며 홍수 피해를 유발합니다.
(1) 홍수 피해
홍수는 하천 주변 저지대의 농경지, 가옥, 도로 등을 물에 잠기게 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며 산사태와 같은 2차 피해를 유발합니다. 이로 인해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합니다.
홍수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 빈도와 피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숲이 사라지고 도로와 건물이 많아지면서 빗물이 토양에 흡수되지 못하고 빠르게 하천으로 흘러 저지대에 큰 피해를 줍니다. 또한 하천의 직강화로 유속이 빨라져 하류 지역에서 급격한 물의 증가로 홍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홍수
우리나라는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가 잦은 여름철에 홍수가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폭우, 즉 집중 호우로 홍수 피해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매해 여름철 서울을 포함한 중부 지방에 시간당 80mm 이상의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집중 호우는 대부분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중규모 현상으로 정확하게 예보하기 어렵다. 최근 들어 긴 시간 지속해서 내리는 강수보다 짧은 시간에 강하게 내리는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호우 특보 기준을 12시간 강수량에서 6시간 강수량으로 변경하였고, 최근에 다시 3시간 강수량으로 변경하여 특보 기준을 강화하였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1시간 강수량도 호우 특보 기준으로 삼아 짧은 시간 강하게 내리는 비에 대응하고 있다. 2010~2020년 여름철(6~9월) 중부 지방의 시간당 80mm 이상 집중 호우는 2016년을 제외한 모든 해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평균 집중 호우 발생 일수는 3.8일로, 매해 3~4일 시간당 80mm 이상의 집중 호우가 발생해 큰 피해가 있었다. 서해안과 접해 있는 수도권,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지역의 집중 호우 발생 일수는 평균 15.7일이며, 이는 내륙 지역인 강원 영서 지방, 충청북도의 집중 호우 발생 일수인 평균 3.5일에 비해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증기 공급이 유리한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집중 호우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상청-
(3) 홍수의 이로운 면
홍수로 하천이 범람하면 한꺼번에 많은 물과 영양분이 공급되어 토양이 비옥해지고 가뭄이 해소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이집트의 나일강 범람은 토양 비옥화를 통해 인류 문명의 형성에 기여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4) 홍수 피해 대책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목적 댐과 제방을 건설하고, 배수 시설을 정비하여 홍수 시 하천의 범람을 막고 가뭄 시 저장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숲을 가꾸어 녹색 댐 역할을 하도록 하고, 도시에서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포장을 줄이며, 하천에는 홍수터를 만들어 자연스러운 범람 공간을 확보하는 생태하천 정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홍수의 위험을 줄이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기초 지리(초중등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치와 인간 생활: 위도와 경도, 계절 차이, 시차, 날짜변경선, 본초자오선 (1) | 2025.01.21 |
---|---|
자연재해 2편: 열대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우리나라 태풍, 태풍 피해, 태풍 대책, 태풍의 이름 (0) | 2025.01.21 |
우리나라의 지형 (0) | 2025.01.20 |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 (0) | 2025.01.20 |
오세아니아: 국가와 도시, 지형과 기후, 산업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