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지리(초중등 지리)

우리나라 인구 구조: 인구의 개념과 정의, 인구 구조, 인구 피라미드

by 반달냥냥 2025. 4. 2.
반응형

(1) 인구(人口)란?

‘여러 사람의 입’을 의미하는 어원을 갖는다. 국립 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구의 의미는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 ‘세상 사람들의 입’, ‘어떤 일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 또는 일정한 범주에 속하는 사람의 수’로 정의한다. 인구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인구는 ‘특정한 국가, 지역, 장소에 살고 있는 사람 또는 특별한 형태와 집단의 사람이나 동물’을 의미한다(캠브릿지 사전, 2016). 그리고 자연 과학에서 인구는 특별한 형태를 갖는 동물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2) 인구 개념에 대한 변천사

인구의 정의가 다양하다는 것은 시대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조금씩 변화하였음을 뜻한다. 인구 연구가 하나의 학문으로 등장한 19세기 중반부터 인구는 인간 집단을 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권태환·김두섭, 2002).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중상주의, 중농주의 등을 포함하여)를 거치면서 인구는 사회와 국가의 관리 대상이 되었다. 즉, 인구는 노동(력), 생산(력), 국력의 토대로 인식되었다.
인구는 특정 장소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수’를 의미함과 동시에, ‘집단의 특성’을 의미한다. 인구는 집단의 수와 특성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으로, 인구 앞에 붙는 명사 또는 형용사에 의해 그 의미가 구체화되는 경향이 있다(세계 인구, 여성 인구, 도시 인구, 고령 인구, 학령 인구 등).

 

(3) 인구 현상이란?

인구 현상이란 ‘인구가 가진 특성’, ‘인구가 보여 주는 상태’를 의미한다. 우리가 ‘인구 1억 명’이라고 할 때 이는 숫자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숫자가 보여 주는 상태 또는 특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만약, 인도의 한 주에 1억 명의 사람이 살고 있다면, 엄청 많은 인구에 해당한다. 하지만, 인접한 주의 인구가 3억 명이라면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가 될 것이다. 반면에, 인도의 한 시골 기차역에 5,000명이 기차를 타려고 운집해 있다면, 이는 과밀 상태의 인구로 이해될 수 있다.
인구 현상이란 출생, 사망, 결혼, 이주 등 인구 집단의 상태나 특성을 보여 주는 것으로, 장소 또는 공간의 개별성에 따라 그 의미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즉, 우리가 어떤 인구 현상을 설명할 때, 이는 특정 공간과 장소의 인구 집단이 갖는 특성(또는 처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 이용균, 『인구와 사회』 발췌

 

(4)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

인구 구조란 성, 연령 등을 기준으로 한 어떤 인구 집단의 구성 상태를 말한다.

연령별 인구 구조는 크게 14세 이하의 유소년층과 15~64세의 청장년층,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나눌 수 있다.

 

1960년대 우리나라는 출산율과 사망률이 높아서 유소년층의 인구 비율은 높은 반면 노년층의 인구 비율은 낮았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출산율이 낮아지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의 비율이 꾸준히 높아지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은 줄고 노년층 인구 비율은 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 중 노년층 인구 비율이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 사회로 변화하였다.

고령 사회: 전체 인구 중 노년층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
회로 구분한다.

출처: 비상교육

(5) 인구 피라미드

인구 피라미드는 인구의 성별·연령별 구조를 함께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총인구에 대한 남녀의 연령별 인구 구성을 0세에서 순차적으로 고연령까지 나타낸 그래프를 말한다.

피라미드는 일반적으로 세로축에 연령을 1세 또는 5세 계급으로 그리고, 가로축에 연령별 인구의 실제 수 또는 구성 비율을 남녀로 구분하여 좌우에 그린다. 인구 피라미드는 특정 사회의 사회적 또는 인구학적 특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데 유용하다.

출처: 비상교육


인구 피라미드의 유형은 직접적으로 출생, 사망, 인구 이동의 세 가지 구성 요인으로 결정된다. 인구 피라미드 유형에서 자연적 증감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피라미드형, 종형, 방추형이고, 사회적 증감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유형은 별형, 표주박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피라미드형 유소년층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다산다사의 초기 개발 도상국에서 나타난다.
종형 출생률이 낮아 유소년층의 인구 비중이 작고,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년층의 비중이 큰 소산소사의 선진국에서 나타난다.
방추형 종형에서 출생률이 더욱 낮아지면 인구가 감소하는 방추형이 된다. 방추형은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지역의 유형이다.
별형 인구 전입으로 청장년층의 비율이 높은 도시나 공업 지역에서 나타나는 유형인데, 노년층 인구나 유소년층 인구에 비해 생산 연령 인구가 많다.
표주박형 청장년층의 전출로 노년층 비율이 높은 촌락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생산 연령 인구에 비해서 노년층 인구나 유소년층 인구가 많다.

출처: 아이스크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