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강수량
세계적으로 볼 때 습윤 기후 지역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300mm 정도이며, 이 중 50% 정도가 여름에 집중된다. 우리나라는 기단의 발달, 장마 기간의 차이, 태풍의 통과 횟수와 강도, 강수의 발생 정도가 해마다 달라 연 강수량의 변화가 심하다.
여름에 집중되는 강수 특성
우리나라의 강수는 여름철에 집중된다.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과 장마 전선, 태풍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내리며, 집중 호우의 형태로 내리는 경우가 많다. 반면, 겨울철에는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강수량의 지역 차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면서 대체로 줄어들지만, 지형과 풍향 등의 영향으로 지역적 차이가 큰 편이다. 비구름이 상승하는 바람받이 지역은 *지형성 강수가 많이 내려 다우지를 이루는 반면, 낮고 평평한 지역이나 바람그늘 지역은 소우지를 이룬다.
*지형성 강수: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산의 사면을 타고 올라갈 때 내리는 비나 눈
우리나라의 다우지와 소우지
바람받이에 해당하는 제주도 남동 지역, 섬진강을 포함한 남해안 일부 지역, 대관령 부근, 한강 및 청천강 중ㆍ상류 지역은 여름철 강수량이 많은 다우지이다.
바람그늘에 해당하는 낙동강 중ㆍ상류 지역, 관북 지역 등은 상대적으로 여름철 강수량이 적어 소우지에 해당한다. 또
한, 대동강 하류 지역은 비교적 저평한 지형으로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어려워 소우지를 이룬다.
우리나라는 다우지와 소우지의 강수량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지만, 다우지와 소우지로 구분하는 이유는 강수량이 주민 생활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면 어느 정도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다우지와 소우지로 나눌까? 사실 그런 것이 정확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다. 보통 우리나라의 평균 강수량이 1,000~1,200mm이니까, 평균에서 부족하면 소우지, 평균을 넘으면 다우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평균 강수량이 600~900mm 정도는 소우지, 1,200~1,800mm 정도면 다우지이다.
우리나라에 일 년 동안 얼만큼의 비가 내릴지 결정하는 열쇠는 장마와 태풍이 쥐고 있다. ‘장마 기간이 어느 정도인지’와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이 얼마 정도인지’에 따라 그 해의 강수량이 결정된다.
우리나라 최고의 다우지는 연 강수량 1,800mm까지 내리는 제주도 남동부이다. 그다음에는 남해안의 지리산 자락인 섬진강 유역과 한강 중·상류 지역이다. 북한은 남한보다 다우지가 적지만 청천강 중·상류 지역은 다우지이다. 여기서 우리나라 다우지는 한라산, 소백산맥(지리산), 광주산맥(한강 중·상류), 묘향산맥(청천강 중·상류)과 같이 비구름과 산지가 부딪치는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고 보니 우리나라 다우지도 인도의 아삼 지방처럼 산과 관계가 깊다.
- 조지욱,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우리나라 지리 이야기』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지역
울릉도, 호남 지방, 영동 지방 등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린다. 울릉도, 호남 지방의 강설은 북서 계절풍이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눈구름을 형성해 발생하고, 영동 지방의 강설은 바다를 건너온 북동 기류가 태백산맥에 부딪칠 때 많은 눈이 내린다.
'기초 지리(초중등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인구 구조: 인구의 개념과 정의, 인구 구조, 인구 피라미드 (0) | 2025.04.02 |
---|---|
우리나라 기후 특징(4): 우리나라 바람 특징, 시베리아기단, 북태평양기단, 오호츠크해기단, 적도기단, 태풍 (0) | 2025.03.24 |
우리나라 기후 특징(2): 우리나라 기온 특징, 기온의 지역 차, 연교차 (1) | 2025.03.19 |
우리나라 행정구역 지명과 도청 소재지: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0) | 2025.03.19 |
우리나라 기후 특성(1): 온대기후, 냉대기후, 사계절, 대륙성 기후, 전통적 가옥 구조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