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지리(초중등 지리)51

아프리카의 문화: 생활 양식, 종교, 예술(미술, 패션, 음악) 1. 아프리카의 생활 양식아프리카는 수많은 부족이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생활 양식, 문화, 종교, 언어 등을 나타냅니다. 아프리카는 지리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활 양식이 발달했습니다. 적도 주변의 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카사바, 얌 등의 작물을 재배합니다. 또한 덥고 습한 기후에 적합한 개방적인 가옥을 짓거나 화려한 무늬의 의복을 만들어 입었습니다. 건조 기후 지역에서는 오아시스 주변에서 재배한 대추야자나 밀을 이용한 음식이 발달했습니다. 가옥은 진흙을 활용해 벽이 두껍고 창문이 작은 건물을 짓고, 얇은 천으로 몸을 감싸는 형태의 의복을 만들어 입었습니다.열대 기후 지역-카사바, 얌 등의 작물 재배-덥고 습한 기후에 적합한 개방적인 가옥 발달-화려한 무늬의 의복 발달건조 기후 지역-오.. 2025. 5. 20.
아프리카의 자연환경: 기후와 지형 1. 아프리카의 기후아프리카의 기후는 적도를 중심으로 열대 기후, 건조 기후, 온대 기후 등이 대칭적으로 분포합니다. 적도 부근의 열대 기후 지역은 무덥고 습한 열대 우림 기후 지역과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사바나 기후 지역으로 나뉩니다. 사하라 사막과 그 주변, 남서부 해안 지역에는 건조 기후가 나타나며, 지중해 연안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대에는 온대 기후가 나타납니다.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플랜테이션 농업과 이동식 화전 농업, 야생 동물을 활용한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건조 기후 지역에서는 오아시스나 나일강과 같은 하천 주변에서 농업이 발달하였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기후와 지형은 지역 주민들의 생활 방식과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아프리카의 해발 고도가 높은 아비시니아고원 등 일부 산지.. 2025. 4. 30.
우리나라 산업 구조의 변화: 주요 공업 지역, 공업 구조, 남동 임해 공업 지역, 산업화, 산업 구조 1. 산업이란?산업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활동을 말한다.1차 산업: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물품을 얻거나 생산하는 산업 2차 산업: 1차 산업에서 얻은 것을 가공하여 물건이나 에너지 등을 생산하는 산업 3차 산업: 생산된 물품을 팔거나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 주는 산업 흔히 알려진 1차 산업(농림 수산업), 2차 산업(광공업), 3차 산업(각종 서비스업)은 산업의 ‘고도화’ 방향을 일컫기 위한 분류였다. 그러나 산업이 대단히 고도화된 오늘날, 3차 산업은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으며 이에 각국은 다양한 표준 산업 분류를 제정하여 각종 통계에 활용한다. 3차 산업이 이렇게 분화되는 이유는 3차 산업에 포함되는 업종들의 다양성도 있고, 산업화가 진행되고 소득이 증가할수록 다양한 수요가 새롭게 창출되기 .. 2025. 4. 11.
우리나라 인구분포와 도시 발달: 이촌향도, 도시화, 대도시권, 1기 신도시, 2기 신도시, 산업화 1. 과거와 오늘날의 우리나라 인구 밀집 지역(1) 과거벼농사가 중심인 농업 사회였던 과거 우리나라는 기후가 따뜻하고, 평야가 발달한 서부와 남부 지역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살았다. 반면 춥고 산지가 많은 북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어 인구 밀도가 낮았다. 1940년 우리나라 인구 밀도 지도에서 북한의 신의주와 남한의 포항을 직선으로 연결해 보면, 그 선을 기준으로 남서쪽은 인구가 밀집한 지역, 북동쪽은 인구가 희박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인구 밀도: 일정한 면적(1㎢) 안에 거주하는 인구수로, 인구의 밀집 정도를 나타낸다.(2) 1960년 이후~ 오늘날1960년대 이후 산업화로 도시에 많은 공장이 들어서면서 촌락 지역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였다. 그 결과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에 우.. 2025. 4. 11.
우리나라 인구 구조: 저출산, 고령화, 인구포스터, 인구표어, 인구 정책 (1) 우리나라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합계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저출산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저출산 현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감소할 것이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유소년층을 위한 문화 · 교육 시설이 최근 줄어들고 있다. 반면 고령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경로당, 요양원, 노인 교실 등 노인 복지 시설은 늘어나고 있다.*합계 출산율: 한 여성이 임신이 가능한 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고령화: 전체 인구 중 노년층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현상(2) 우리나라 인구 정책의 변화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아이가 많이 태어나며 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자 인구 정책을 세우고 가족계획을 권하였다.그러나 1990년대 이후 .. 2025. 4. 2.
우리나라 인구 구조: 인구의 개념과 정의, 인구 구조, 인구 피라미드 (1) 인구(人口)란?‘여러 사람의 입’을 의미하는 어원을 갖는다. 국립 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구의 의미는 ‘일정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수’, ‘세상 사람들의 입’, ‘어떤 일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 또는 일정한 범주에 속하는 사람의 수’로 정의한다. 인구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인구는 ‘특정한 국가, 지역, 장소에 살고 있는 사람 또는 특별한 형태와 집단의 사람이나 동물’을 의미한다(캠브릿지 사전, 2016). 그리고 자연 과학에서 인구는 특별한 형태를 갖는 동물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2) 인구 개념에 대한 변천사인구의 정의가 다양하다는 것은 시대를 거치면서 그 의미가 조금씩 변화하였음을 뜻한다. 인구 연구가 하나의 학문으로 등장한 19세기 중반부터 인구는 인간 집단을 규정하는..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