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시아는 세계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대륙으로 다양한 자연환경을 토대로 많은 사람이 살아가는 곳이다.
1. 아시아의 위치와 주요 도시
- 아시아의 지리적 범위: 아시아는 서쪽으로 유럽과 아프리카에 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태평양, 남쪽으로는 인도양과 맞닿아 있는 대륙입니다. 아시아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부 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 아시아의 경계: 일반적으로 러시아에 남북으로 길게 뻗은 우랄산맥에서 시작하여 카스피해와 흑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두 지역을 구분합니다. 보통 우랄산맥 동쪽을 아시아, 우랄산맥 서쪽을 유럽이라고 부릅니다.
- 아시아의 국가와 주요 도시들: 아시아에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대한민국의 서울, 일본의 도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태국의 방콕, 인도의 뉴델리, 방글라데시의 다카, 카타르의 도하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베이징, 서울, 도쿄는 세계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지닌 도시로 꼽힙니다.
2. 아시아의 지형과 기후
- 아시아의 지형 특징: 아시아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영향을 받아 히말라야산맥과 티베트고원과 같은 높은 산지와 고원이 발달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 발원한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인더스강, 갠지스강, 메콩강, 황허강 등 주요 하천은 넓은 평야 지대를 지나 바다로 흘러갑니다. 이러한 하천 유역의 평야 지대는 토양이 비옥하고 물이 풍부해 농경이 일찍부터 발달했으며, 이는 문명의 중심지가 형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반면, 강수량이 적은 유라시아 대륙의 내륙 지역과 아라비아반도에는 고비 사막과 룹알할리 사막과 같은 대규모 사막 지대가 나타납니다.
- 아시아의 기후 특징: 아시아는 위도, 지형, 해발 고도 등의 차이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후를 보입니다. 중국 북동부 지역은 냉대 기후, 중국 중남부와 일본,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은 온대 기후, 동남아시아 중남부와 인도 남부 지역은 열대 기후가 나타납니다.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는 사막과 초원이 펼쳐진 건조 기후가 특징입니다.
- 기후에 따른 생활 모습: .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및 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농경이 어려운 건조 지역과 고산 지역에서는 유목이 발달했습니다. 또한 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차, 커피, 카카오 등 열대 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업이 발달하기도 했습니다.
3. 아시아의 종교와 인구
- 아시아의 다양한 종교: 아시아는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크리스트교 등 세계 주요 종교의 발상지로, 매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대륙입니다. 불교와 힌두교는 인도 북부에서 기원하였으며, 이슬람교와 크리스트교는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아시아는 지역 간의 거리가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종교 경관과 생활 양식이 크게 다를 만큼 종교 분포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아시아의 인구: 아시아는 세계 육지 면적의 약 23%에 불과하지만, 세계 인구의 약 60%가 거주하고 있어 지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대륙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는 80억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약 47억 명이 아시아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를 포함한 남부 아시아에 약 20억 명이 살고 있으며, 중국과 대한민국 등이 위치한 동아시아 약 17억 명이 살고 있습니다.특히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인구 1억 명이 넘는 국가들이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아시아의 인구 분포: 아시아는 산업화 이전에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부 아시아의 평야 지역에 인구가 집중하였는데, 이들 지역은 계절풍이 불어 벼농사에 유리하였기 때문입니다. 산업화 이후에는 도시 지역의 인구 밀도가 농촌 지역에 비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아시아의 인구 구조: 파키스탄, 필리핀 등 합계 출산율이 높게 나타나는 국가들은 기대 수명 증가와 함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민국, 일본 등 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아시아의 국가에서는 결혼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고용 환경의 변화 등으로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어드는 저출산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에서는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는 한편,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노년층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고령화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아시아의 인구 이주: 서남아시아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 등은 석유 개발로 얻은 경제적 이익을 신도시 건설, 고층 빌딩 건설 등 대규모 개발 사업에 투자하고 있어 일자리가 풍부합니다. 따라서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등 주변 아시아 국가에서 일자리를 찾는 젊은 남성 노동자들이 서남아시아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4. 아시아의 산업
- 천연자원의 생산: 아시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노동 집약적인 제조업이 발달한 대륙입니다. 최근에는 첨단 기술과 문화 산업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도 큰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 발전은 지역 및 국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서남아시아 지역은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여 세계 각국에 이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은 석탄, 철광석, 니켈, 희토류와 같이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제조업 발달: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노동력이 풍부한 국가들은 의류와 신발 등 노동 집약적인 제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 제조업 분야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어, 아시아는 산업 전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2010년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릴 정도의 제조업 강국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의류나 신발 등을 생산하는 노동 집약적인 제조업의 공장들이 인건비가 더 저렴한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라오스 등으로 이전하기도 하였습니다.
- 서비스업과 첨단 산업 발달: 최근 대한민국, 인도, 일본, 중국 등에서는 부가 가치가 높은 서비스업과 첨단 산업이 발달하였습니다. 서남아시아의 일부 국가도 석유 자본을 바탕으로 첨단 산업과 관광 산업 육성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기초 지리(초중등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 위치, 국가, 주요 도시(이집트 카이로, 모로코 카사블랑카, 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0) | 2025.01.20 |
---|---|
유럽(1): 유럽의 위치, 지리적 특징, 국가와 도시들, 작은 국가가 많은 까닭 (0) | 2025.01.20 |
열대 고산 기후의 특징: 안데스 산지의 생활 모습과 안데스 문명 (0) | 2025.01.20 |
한대 기후의 특징: 툰드라 지역, 네네츠족, 남극 (0) | 2025.01.20 |
냉대 기후의 특징: 타이가, 이즈바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