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침식 지형(하식곡, 하식애, 하안 단구)과 퇴적 지형(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1. 하천 흐름에 따른 지형의 특징하천은 대개 높은 산지나 고원에서 시작하여, 고지대를 깎아 내며 낮은 지역을 메운 뒤 바다로 흘러갑니다. 해발 고도가 높은 상류 지역은 하천의 경사가 급하지만, 하류로 갈수록 점차 완만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상류 지역에서는 하천 바닥(하상)과 침식 기준면 사이의 고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깊게 깎아 내는 하방 침식이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이로 인해 V자 모양의 깊고 좁은 계곡이 형성됩니다. 반면, 하류로 내려갈수록 하상과 침식 기준면 사이의 차이가 줄어들면서 하방 침식은 약화되고, 하천의 양옆으로 깎아 내는 측방 침식이 활발해집니다.특히 하류에서는 하천의 경사가 완만해지고,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이면서 지형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하천이 다양한 지..
2025. 1. 21.
자연재해 2편: 열대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우리나라 태풍, 태풍 피해, 태풍 대책, 태풍의 이름
1. 열대 저기압이란?열대 저기압은 열대 지역의 해상에서 발생하여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는 기상 현상으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m/s 이상일 때를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열대 저기압은 해수면 온도가 높고, 대기가 따뜻하며 불안정하여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은 환경에서 잘 발생합니다. 발생 후에는 따뜻한 해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세력이 점차 커지지만, 육지나 차가운 해수면 위를 지나게 되면 세력이 약해지거나 사라지기도 합니다. 2. 열대 저기압의 종류(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열대 저기압은 발생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립니다. 태풍: 북태평양 서부 해상에서 발생하는 것은 태풍(typhoon) 허리케인: 북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 북태평양 동부에서 발..
2025. 1. 21.